글
(최종 수정 : 2014년 1월 2일 01시 25분)
ㄱ. 기본 사용 문자는 a, ä, b, c, d, e, ë, g, h, ı, ï, i, j, k, m, n, o, ö, p, r, s, t, u, ü, w, z로 한다. f, l, q, v, x, y는 외래어 및 고유명사 표기시 사용한다.
발음의 경우 ㅏ, ㅐ, ㅂ, ㅉ, ㄷ, ㅓ, ㅔ, ㄱ, ㅎ, ㅡ, ㅢ, ㅣ, (이중모음용), ㄲ, ㅁ, ㄴ, ㅗ, ㅚ, ㅃ, ㄹ, ㅅ, ㄸ, ㅜ, ㅟ, (이중모음용), ㅈ이다.
ㄴ. 복합 사용 문자는 모음끼리의 복합자와 ng, 거센소리 표현(b, d, g, s, z + h)이외에는 원칙적으로 불허한다. 또한 아스키 코드로 입력할 수 없는 모음자(ä, ë, ı, ï, ö, ü)는 입력이 곤란한 경우에 한하여 ay, ey, y, yy, oy, uy 등으로 표기하는 것을 허용한다.
ㄷ. 복합자 ng의 뒤에 모음이나 이중모음용 자음(j, w), 자음 h가 바로 붙는 경우 어포스트로피(')를 붙여서 n+g모음의 발음과 구분한다.
ex) Hanga → 한가(閑暇) Hang'a → 항아(姮娥)/Jenga → 연가(宴歌) Jeng'a → 영아(嬰兒)/Hang'hä → 항해(航海)
ㄹ. 거센소리는 된소리 글자(c, k, p, t)의 뒤에 h를 붙여서 표현한다. 단 h가 예사소리 글자(b, d, g, z) 앞뒤로 붙는 경우도 모두 거센소리로 발음한다.
ex) Thangımdä 탄금대/Thıgbjerphjen 특별편/Zohgo 좋고[조코]/Nahda 낳다[나타]/Madhjeng 맏형[마텽]
ㅁ. rr은 [l]로 발음한다.
ex) Zusangzerri 주상절리/Gjerrjak 결략/Murron 물론/Gerrë 걸레
ㅂ. 두음법칙이 이루어지는 한자어 표기(nj, r이 오는 경우)은 발음상으로는 적용하나, 표기상으로는 모두 무시하고 원래 표기를 살려 적는다.
ex) Njudägam 유대감(紐帶感)/Rjangban 양반(兩班)/Senrjur 선율(旋律)/Norje 노예(奴隷)
ㅅ. 고유명사 및 비한자 외래어(현대 중국어와 일본어 직접차용어 포함)는 모두 머릿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로마자로 표기하지 않는 언어의 고유명사 및 외래어의 경우 해당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라 적는다.
ex)
Mcdonald Colanın Afghanï pinunmur. 맥도날드 콜라는 아프간의 피눈물.
Nanın Yukikazega zëir zohajo. 나는 유키카제가 제일 좋아요.
Urinın Moskva 3sang'höï chanseng'handa! chanseng'handa! 우리는 모스크바 3상회의 찬성한다! 찬성한다!
Rjëmuni wä itan gebakë ebsnınzinın anarrjazum
ㅇ. 이중모음 ㅘ, ㅙ, ㅝ, ㅞ의 경우 oa, oä, ue, uë로 표기하나, 어절 초두에 오는 경우 wa, wä, we, wë로 표기한다.
ex) Wanseng 완성/Goarjaggın 괄약근/Zegsinuer 적신월
(Därjak i zengdoro Ruleır zeng'hä boassnındë, de booanhamjen zohgëssdanın gesi issısimjen zirmun buthagdıribnida.)
'기.노.영산 > 한국어―日本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한자음 일본어 치환론 - (3) 홀소리편 後編 (0) | 2013.12.25 |
---|---|
한국어 한자음 일본어 치환론 - (3) 홀소리편 前編 (0) | 2013.12.25 |
한국어 한자음 일본어 치환론 - (2) 첫소리편 (0) | 2013.12.24 |
한국어 한자음 일본어 치환론 - (1) 받침편 (0) | 2013.12.24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