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의 사항

- 대사에 나오는 짧은 일본식 감탄사는 자막 번역에서 굳이 넣을 필요 없다.

예) あっ, 待ってください

기다려 주세요

- 말을 더듬는 표현도 소리로 이해가 되므로 굳이 넣을 필요 없다.

예) お, 前たち!

너희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12. 27. 12:41

☆  사항

- 대사 싱크는 소리에 맞춰서 들어오도록 한다.  소리보다 빠르거나 늦을 경우에 자칫하면 몰입도가 떨어질 수 있다.

- 공백( )은 적절히 쓴다. 대사 간격이 길 때, 자막이 계속 떠있어도 보기 불편할 수 있다. 반대로 대사 간격이 짧을 때, 자주 공백이 들어가도 보기 불편할 수 있다.

- 그 대사를 약 2~3회 반복해서 읽을 수 있을 만큼 자막이 떠있는 것이 가장 좋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12. 25. 09:55

☆ 유의 사항

- '따옴표'를 포함한 문장 부호는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자주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느낌표(!), 물음표(?), 줄임표() 등은 그 줄 문장 끝에만 붙인다.

예) 당신 별명이잖아요? 번밀레?    X

당신 별명이잖아요, 번밀레?    O

- 만약 내용상 물음표(?)를 2번 붙여야 할 경우는 줄을 나눈다.

예) 그래요?<BR>몰랐나요?

- 줄임표()의 경우도 자주 쓰지 않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할 경우엔 그 줄 끝에만 쓴다.

예) 아는 줄로만 알았는데

- 마침표는 쓰지 않는다.

예) 당신 말이에요.    X

당신 말이에요    O





'휘즈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막 번역 유의 사항 - 04 생략  (0) 2013.12.27
자막 번역 유의 사항 - 03 싱크  (0) 2013.12.25
자막 번역 유의 사항 - 01 자막 길이  (2) 2013.12.2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12. 24. 21:06

☆ 공통점

- 자막은 최대 두 줄까지만 쓴다.

- 될 수 있으면 글자 수는 줄이도록 해야 작품 몰입에 방해되지 않는다.

- 될 수 있으면 윗줄이 아랫줄보다 짧은 게 좋지만, 필수는 아니다.

- 윗줄과 아랫줄의 길이는 비슷하게 맞추는 게 가장 좋다.

- 줄을 나눌 때의 기준은 문장 기준과 읽었을 때 이해가 편한 기준으로 한다.

예) 위에서 보면 모두<BR>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X

위에서 보면<BR>모두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O

내가 아직 진심이<BR>아니라고 말하고 싶은 거냐?  X

내가 아직 진심이 아니라고<BR>말하고 싶은 거냐?  O


☆  차이점

TV 판 : 한 줄에 13자~14자를 넘기지 않는다. 

극장판 : 한 줄에 10자를 넘기지 않는다.

BD판 : 한 줄에 15자~16자를 넘기지 않는다. 



'휘즈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막 번역 유의 사항 - 04 생략  (0) 2013.12.27
자막 번역 유의 사항 - 03 싱크  (0) 2013.12.25
자막 번역 유의 사항 - 02 문장 부호  (1) 2013.12.24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12. 24. 20:49
| 1 |